도입배경 및 목적
`18.12 태안화력발전소 압사사고, `20.5 물류창고 건설현장 화재사고와 같은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사고와 함께 가습기 살균제 사건 및 4.16 세월호 사건과 같은 시민재해로 인한 사망사고 발생 등이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어 옴
안전보건에 관한 법령상 제도 개편이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재해가 반복되는 근본적 이유는 경영책임자의 안전보건경영체계 구축이 제대로 뒷받침되지 아니한 데 있음
이에 사업 또는 사업장, 공중이용시설·공중교통수단을 운영하거나 인체에 해로운 원료·제조물을 취급하면서 안전·보건 조치의무를 위반하여 인명피해를 야기한 사업주, 경영책임자, 공무원 및 법인을 처벌함으로써 중대재해 예방 및 종사자 등의 생명·신체를 보호하고자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정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준비사항
이 법은 경영책임자가 안전보건 조치를 강화하고 안전투자를 확대하여 중대재해를 근원적으로 예방하도록 하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음
소속 종사자의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각 사업장 스스로 유해·위험요인을 찾아내고 자율적으로 개선하는 등 상시적인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함
중대재해처벌법에서도 경영책임자 등에게 산재예방을 위한 인력·예산 등을 포함하는 안전보건 관리체계 구축과 이행조치 의무를 부여하고 있음
사업주·경영책임자 등의 안전보건 확보의무란?
안전보건관리체계 의미
<전통적 안전보건 활동 vs 안전보건관리체계>
구분
전통적 활동
안전보건 관리체계
동기
처벌 회피 -> 수동적
성과 달성 -> 능동적
책임
안전보건 담당자
경영자
평가
외부점검
(고용부 등)
자체 점검
목표
처벌 회피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
안전경영컨설팅's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안전보건관리 체계 구축
메뉴얼 | 절차서 | 지침서 |
ISO 45001 국제표준 기준
1. 적용범위
2. 인용표준 3. 용어와 정의 4. 조직상황 5. 리더십과 근로자의 참여 6. 기획 7. 지원 8. 운용 9. 성과평가 10. 개선 |
자체 개발 시스템 절차서
1. 조직상황분석
2. 리더십 및 방침관리 3. 안전보건조직 및 역할 4. 목표 및 추진계획 5. 의사소통 및 정보제공 6. 문서 및 기록관리 7. 안전보건활동 8. 변경관리 9. 성과평가 및 모니터링 10. 내부심사 11. 경영검토 12. 부적합 시정조치 및 개선실행 |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지침서
1. 안전보건관계자 직무평가 지침
2. 위험성평가 지침 3. 안전보건관계법령 이행점검 지침
4. 교육 훈련 및 자격 지침
5. 중대(산업)재해 대응조치 지침 6. 도급사업 안전관리 지침 |
산업안전보건법 및 정부평가 대응 지침서
1. 작업장 안전조치
2. 중량물 및 인력운반 안전작업 3. 개인보호구 지급 및 관리 4. 고소작업안전 5. 전기재해예방활동 6. 폭발화재 및 위험물 누출 예방 활동 7. 안전검사 8. 공작기계 작업안전 9. 위험 기계 기구 안전 10. 표준작업안전
11. 작업중지요청 12. 안전작업허가제 13. TBM, 아차사고 발굴 및 안전 제안제도 14. 작업환경측정 15.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관리 16. 건강진단 17. 근로자 건강증진활동 18. 밀폐공간작업
19. 호흡기보호 20. 응급처치 21. 조달(구매)관리 22. 출장시 안전관리 23. 고객응대업무 종사자 건강보호 24. 건설안전지침 24. 건설안전지침 25. 비상시 대비 및 대응 지침 등 |
※ 사업장 특성을 반영하여 중대재해처벌법 상 안전보건 확보의무 이행